목디스크 정확한 질병명은 경추 수핵 탈출증(cervical herniated nucleus pulpususdisc) 라고 한다
경추 디스크란 목 쪽 척추인 경추와 경추 사이에 있는 추간판(디스크) 사이로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서 신경근 또는 척수를 누르는 질환이다
원인은
경추 추간판(디스크)이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이 감소하여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서 탄력성이 상실되어 굳어지고 추간판 벽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 부이 굳어진 수핵이 빠져나오는 것이 주원인이며 외상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증상은
뒷목 및 어깨 상부의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병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어깨와 팔의 통증이나 약화가 발생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 척수에 손상을 줘서 다리의 힘이 약해지거나 마비가 발생하기도 한다
진단 환자가 증상을 호소하면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고 단순 엑스레이(X-ray)를 촬영하며 의심이 되면 전산화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검사(MRI)를 시행한다 일반적으로 이런 검사로 진단이 되나 필요시 근전도를 시행한다
검사 이학적 검사 X ray 경추 전산화 단층촬영 경추 자기 공명 영상 등을 활용한다
치료
초기에는 약물 치료와 물리치료를 적절히 시행하면서 증상의 완화를 관찰한다 본 방법에 효과가 없을 경우 침습적인 치료를 시행한다 수술적 치료 전에 흔히 뼈 주사라고 하는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신경차단술은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에 주사를 통해 직접 약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이는 근본적으로 병을 치료한다기보다는통증 완화 염증 완화에 목적을 둔 치료방법으로 효과는 일시적이며 필요시 추가로 시술이 가능하다 그러나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3개월에 한 번 정도만 시술이 가능하다 수술적 치료는 앞으로 목을 절개해서 해당 디스크를 제거하고 뼈를 하나로 유합 하는 방법 인공 디스크를 삽입하는 방법이 있으며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해서 빠져나온 수핵만을 제거하는 내시경 수술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예방방법 목의 자세를 바르게 하고 베개는 너무 높지 않게 한다
특히 컴퓨터 작업 시 모니터를 눈높이로 하여 목을 거북이 목처럼 하지 않게 한다 평소에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한 시간에 한번 정도 스트레칭을 하여 목 뒷부분 및 어깨 근육을 풀어주어 만성 통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