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초기증상 변화, 예방접종 약 치료방법
반응형

대상포진초기증상 변화, 예방접종 약 치료방법

반응형

대상포진초기증상

신경절에 잠복상태의 수두 바이러스가 재활성화가 되면서 피부에서의 증상이라하면 신경근의 자각신경이 분포되어있는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나며, 심한 통증과 감각이상이 동반되어 붉은 반점이 신경을 따라 나타난 후 다수의 물집이 무리를 지으며 나타난다.

대상포진 예방법 예시 사진
오래 가는 환절기 감기 몸살? 알고보니 대상포진

수포의 변화

10~14일동안 변화되며, 고름이 차고 탁해지며 나중 딱지로 변하게 된다. 신체접촉 등에 의해 물집이 터지게 되면 궤양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보통 2주 정도가 지나가면 딱지가 생기며 증상이 좋아지긴 하지만 피부의 병적인 증상들이 모두 좋아진 후에도 해당 부위가 계속 아픈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통증은 노인 환자의 약 30%에 나타나며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할 정도의 통증이 심한 경우도 있다고 한다.

 

대상포진 예방접종

대상포진 예방백신은 개발되어 사용중이며, 60세 이상 성인에 1회 접종 추천.

 

대상포진 약, 치료

급성기 대상포진 치료의 표준은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투여하는데 바이러스의 복제 억제 또는 확산 기간의 단축 발진과 치유를 촉진 한다. 그리고 급성통증의 경우 기간과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항바이러스제의 치료가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시키며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는 바이러스에 의한 신경 손상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한다. 약물 치료의 효과가 미비한 경우 신경 블록을 시행하게 되면 증상의 조절에 도움을 줄수 있다.

글의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